본문 바로가기
AI보고서

[Report] 기술 사례 및 상용화 동향에 관한 고찰: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성 코팅 소재

by Re_search_Lab 2025. 4. 5.



초록(Abstract)

본 연구는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성 필름 및 코팅 소재의 상용화 기술 사례를 분석하고, 주요 기업 및 기관의 제품 적용 현황을 고찰하였다. 특히 무기계, 유기계 및 복합계 기술을 중심으로 적용 방식, 시장 반응, 산업 확산 방향을 비교하였다. 본 고찰은 향후 고기능 항균소재 개발 전략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1. 서론(Introduction)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위생과 안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급격히 향상됨에 따라,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성 소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산업군에서 관련 제품의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건축 내장재, 전자기기 표면, 의료기기 등에 적용되는 기능성 코팅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주요 항균·항바이러스 코팅 기술 사례를 정리하고, 각 기술의 특징 및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다.



2. 기술 분류 및 적용 방식

2.1 무기계 항균 코팅 기술

무기계 기술은 주로 은(Ag), 구리(Cu), 아연(Zn) 등의 이온 및 나노입자를 활용하며, 지속력과 내열성이 강점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BASF의 Silverion®이 있으며, 이는 플라스틱 및 도료에 적용 가능한 은계 항균제다.

2.2 유기계 항균 코팅 기술

4급 암모늄염(QAC), 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산 등이 주요 유기계 항균물질로, 빠른 살균 속도와 투명성 확보가 장점이다. Mitsubishi Chemical의 DIA Coat는 비외피 바이러스까지 제어 가능한 유기계 항바이러스 코팅제로 상용화되었다.

2.3 복합계 항균 코팅 기술

무기/유기 복합소재는 양측의 장점을 융합하여 높은 항균력과 물리적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한국화학연구원에서는 TiO₂-Ag 복합 광촉매 기술을 개발하여 실내 환경에서도 항균·항바이러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제품을 제시하였다.



3. 주요 상용화 사례 분석



이들 제품은 모두 내구성, 적용 용이성, 안전성, 광범위 항균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4. 고찰 및 분석

상용화된 항균·항바이러스 기술은 기술적 안정성뿐만 아니라 시장 수용성과 규제 적합성이 핵심 성공 요소임이 드러난다. 유럽 및 북미 시장에서는 BPR, EPA 등의 생물학적 제재 규제가 까다롭기 때문에, 인체 무해성 검증과 장기적인 내구성 확보가 필수 조건이다. 또한 단순한 항균 기능 외에 광촉매 기능, 습기 응답성, 색변화 감지 기능 등이 부가된 제품이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5. 결론(Conclusion)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성 코팅 기술은 이미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용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고감도 감지 기능과 스마트 응답형 소재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다. 기술 상용화를 위해서는 소재의 안전성 확보, 적용 공정의 단순화, 규제 대응 전략 수립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고찰은 이러한 상용화 전략 수립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문헌(References)
• [24. 유기복합소재 보고서]_고기능 필름·코팅 소재, 2024
• ISO 22196, ISO 21702
• 기업 공식 웹사이트 및 기술 백서: BASF, Mitsubishi Chemical, LG, NanoCare 등